경찰 조직 경과
1835년 조선 헌종시대에 좌우포도청을 설치하였고, 1884년 고종 31년에 좌우포도청을 폐지하고 경무청장실을 두었다. 1899년에는 경무대신을 신설하고 직접 전국 경찰사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1901.12. 광무 5년에 경무대신을 폐지하고 경찰권을 내무대신이 관장하게 하고 경무청 직제를 개정하여 경무사, 경찰국장, 경무관, 총순, 순검 등 계급제도를 두게 되었다.

1919.4.11. 상해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임시정부 최초 헌법인 ‘대한민국 임시헌장’이 제정되었다. 이에 입각하여 정부를 구성하고 4.25. 정부조직법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장정(大韓民國 臨時政府 章程)’을 제정하여 정부 각 부서를 설치하였다. 임시정부 경찰을 직제에 규정하고 임시정부 최초의 경찰기관인 경무국이 내무부 산하에 설치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8.12. 백범 김구 선생을 초대 경무국장에 임명하면서 임시정부경찰의 구성과 활동이 시작되었다.

▴경무국장 시절의 김구 가족

1919.12.1. 임시정부는 국내 국민에 대한 행정 및 통치를 위해 연통제(聯通制)를 실시하였다. 연통제는 임시정부의 비밀 국내 통치제도로 내무총장 안창호에 의해 추진되었다.

국내 전국 각 도에 지방장인 독판 아래에 당시 비밀 조직으로 운영되었던 연통제 경찰인 경무사장, 경감, 경호원 등을 두어 경찰 사무를 집행하도록 하였다.

1923.12.16.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 상해 대한교민단은 김구가 내무총장으로 취임한 이후 상해 동포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방경찰의 성격을 띠는 치안조직인 의경대를 조직하였다. 의경대는 1932년 윤봉길 의사의 의거 이후 강화된 일제의 검열로 활동이 중지될 때까지 임시정부를 수호하고 교민 동포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경찰 활동을 수행하였다.

1941.10.17. 대한민국임시정부 경비·경호 경찰기구인 경위대가 설치되고, 이후 임시정부는 관제를 개정하고 그동안 정지 상태에 있던 경찰기관을 복원하였다. 1943.3.30. ‘대한민국 잠행관제’가 공포되어 임시정부 중앙 경찰기구로서 설치된 경무과(기존 ‘경무국’을 ‘경무과’로 대체)는 194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잠행중앙관제’에 의해 ‘일체 경찰에 관한 사항’을 집행하였다.

경위대는 1943년 이후의 정부조직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내무부 직속기구로 편성되어 임시정부 수호의 임무를 수행하다 광복을 맞이하였다. 1945.8.15. 해방과 더불어 미군정이 실시되었다.

▋ 1945년~1948년 경무부시대(1945.10.21. 경무국 → 1946.1.16.~1948.11.3. 경무부)
▸1945.10.21. 미군정청에 경무국, 각 도에 경찰부 창설
▸1946.1.16. 경무국을 경무부로 승격시켜 총무, 공안, 수사, 통신, 교육 등 5국으로 편성하고 경찰계급을 경무부차장, 총경, 감찰관, 경감, 경위, 경사, 순경으로 개정
▸1946.4.1. 각도의 경찰부를 관구경찰청(管區警察廳)으로 개편

▋ 1948년~1974년 치안국시대(1948.11.4.~1974.12.30. 폐지)
▸1948.11.4. 내무부장관 산하에 치안국 설치(경무, 보안, 경제, 사찰, 수사지도, 감식, 통신, 소방, 여자경찰관)
▸1948.11.8. 제1관구경찰청에서 경기도경찰국으로 개칭(기구: 경무, 보안, 수사, 사찰, 경제, 통신, 소방)
▸1948.11.18. 각 시도에 경찰국 설치(기구 : 경무, 보안, 수사, 사찰, 통신, 소방)
▸1948.11.19. 제주경찰감찰청(전 제주감찰청)을 제주도경찰국으로 개칭
▸1949.2.23. 제2관구 경찰청을 강원도경찰국으로 개칭
▸1963.1.1. 경상남도경찰국으로부터 부산시경찰국 분리 신설(초대 경찰국장 박영수 경무관)
- 1963.1.1.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1995.1.1. 부산광역시로 개칭)
▸1999.7.2. 울산광역시지방경찰청으로 개칭(울산은 경남 울산시에서 1997.7.15. 울산광역시로 승격)

▋ 1974년~1990년 치안본부시대(1974.12.31.~1991.7.30. 폐지)
▸1974.12.24. 내무부장관 산하 치안국을 치안본부로 개편(정부조직법 개정)
▸1991.7.31. 치안본부를 경찰청, 지방경찰국을 지방경찰청, 해양경찰대를 해양경찰청으로 승격
- 8.1.부터 치안본부는 경찰청으로, 지방경찰국은 지방경찰청으로, 해양경찰대는 해양경찰청으로 명칭 변경
▸2007.7.2. 광주지방경찰청·대전지방경찰청을 전남지방경찰청·충남지방경찰청으로부터 각 분리 신설
- 1986.11.1. 광주시가 광주직할시로 승격(1995.1.1. 광주광역시로 개칭)
- 1989.1.1.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1995.1.1. 대전광역시로 개칭)

▋ 1991년~현재 경찰청시대(1991.7.31. ~ 현재)
- 1990.12.27.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치안본부를 경찰청으로 개편하고, 그 시행 시기는 경찰법(1991.5.31. 제정) 시행일인 1991.7.31.부터 시작
▸1991.8.1. 내무부장관 산하 치안본부를 경찰청으로 개칭(지방경찰국은 지방경찰청으로 개칭)

※ 내무부 명칭 변화 : 1948.7.17. 내무부장관 → 1998.2.28. 행정자치부장관 → 2008.2.29. 행정안전부장관 → 2013.3.23. 안전행정부장관 → 2014.11.19. 행정자치부장관 → 2017.7.26. 현 행정안전부장관

관련 전체 글
[경찰국 논란] 행안부의 경찰국 신설 무엇이 문제인가?
[경찰 지구대 역사] 지구대는 왜 설치되었으며, 파출소는 왜 부활했나?
국가경찰·자치경찰 조직(경찰서, 직할대,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업무·계급 등
[경찰역사] 연도별 경찰관서(지방경찰청·경찰서·지구대·파출소·지서) 수 및 경찰관 정원(현원) 등
국가경찰·자치경찰과 국가경찰위원회·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구분 및 역할과 임무
왜 제주특별자치도인가? 제주 자치경찰제 시행 과정과 현재 상황은?
[검수완박] 형사소송법·검찰청법 자세한 내용 및 시행일 등


▋연도별 경찰관서(지방경찰청·경찰서·파출소·지서·출장소·지구대) 수

▋ 내무부 산하 치안국(1948.11.4.~1974.12.30. 폐지)
▸1968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69개|지서 1,374개|파출소 799개|출장소 116개
※ 11개 지방경찰국 : 서울특별시, 부산직할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1969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70개|지서 1,375개|파출소 803개|출장소 122개
▸1970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71개|지서 1,372개|파출소 822개|출장소 128개
▸1971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72개|지서 1,388개|파출소 830개|출장소 130개 
▸1972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73개|지서 1,394개|파출소 860개|출장소 125개
▸1973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75개|지서 1,394개|파출소 893개|출장소 124개

▋ 내무부 산하 치안본부(1974.12.31.~1991.7.30. 폐지)
▸1974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75개|지서 1,394개|파출소 896개|출장소 125개
▸1975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75개|지서 1,486개|파출소 937개
▸1976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78개|지서 1,489개|파출소 957개
▸1977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80개|지서 1,496개|파출소 1,020개
▸1978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83개|지서 1,498개|파출소 1,096개
▸1979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86개|지서 1,497개|파출소 1,170개
▸1980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90개|지서 1,498개|파출소 1,569개
▸1981년 : 지방경찰국 11개|경찰서 190개|지서 1,488개|파출소 1,629개  
▸1982년 : 지방경찰국 12개|경찰서 192개|지서 1,488개|파출소 1,628개|출장소 9개
※ 12개 지방경찰국 : 위 11개 경찰국 + 1981.7.1. 대구직할시(대구시는 1981.7.1. 대구직할시로 승격 → 1995.1.1. 대구광역시로 개칭) 경찰국 신설
- 12개 지방경찰국 : 서울, 부산, 대구, 경기,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
▸1983년 : 지방경찰국 12개|경찰서 192개|지서 1,488개|파출소 1,632개|출장소 9개
▸1984년 : 지방경찰국 12개|경찰서 195개|지서 1,490개|파출소 1,635개|출장소 9개
▸1985년 : 지방경찰국 12개|경찰서 196개|지서 1,477개|파출소 1,658개|출장소 9개
▸1986년 : 지방경찰국 12개|경찰서 196개|지서 1,476개|파출소 1,674개 
▸1987년 : 지방경찰국 13개|경찰서 198개|지서 1,476개|파출소 1,689개|출장소 9개
※ 13개 지방경찰국 : 위 12개 경찰국 + 1987.2.27. 인천직할시(인천시는 1981.7.1. 인천직할시로 승격 → 1995.1.1. 인천광역시로 개칭) 경찰국 신설
- 13개 지방경찰국 :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경기,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
▸1988년 : 지방경찰국 13개|경찰서 200개|지서 1,469개|파출소 1,711개|출장소 10개
▸1989년 : 지방경찰국 13개|경찰서 201개|지서 1,450개|파출소 1,760개|출장소 10개
▸1990년 : 지방경찰국 13개|경찰서 208개|지서 1,452개|파출소 1,861개|출장소 10개

▋ 내무부 산하 경찰청(1990.12.27. 치안본부를 경찰청으로 개편하고 그 시행일은 1991.7.31.로 함)
▸1991년 : 지방경찰청 13개|경찰서 218개|지서 1,305개|파출소 2,054개|출장소 10개
※ 1991.7.31. 13개 지방경찰국을 지방경찰청으로 승격(8.1.부터 치안본부는 경찰청으로, 지방경찰국은 지방경찰청으로, 해양경찰대는 해양경찰청으로 명칭 변경)
- 13개 지방경찰청 :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경기,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
▸1992년 : 지방경찰청 13개|경찰서 220개|지서 1,301개|파출소 2,088개|출장소 10개
▸1993년 : 지방경찰청 13개|경찰서 220개|지서 1,301개|파출소 2,088개|출장소 10개
▸1994년 : 지방경찰청 13개|경찰서 222개|지서 1,301개|파출소 2,103개|출장소 10개
▸1995년 : 지방경찰청 13개|경찰서 223개|파출소 3,404개|출장소 10개
▸1996년 : 지방경찰청 13개|경찰서 223개|파출소 3,422개|출장소 10개
▸1997년 : 지방경찰청 13개|경찰서 224개|파출소 3,422개|출장소 10개

▋ 행정자치부 산하 경찰청
▸1998년 : 지방경찰청 13개|경찰서 225개|파출소 3,219개
▸1999년 : 지방경찰청 14개|경찰서 229개|파출소 3,226개
※ 14개 지방경찰청 : 위 13개 + 울산지방경찰청 신설(1999.7.2.)
- 14개 지방경찰청 :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울산, 경기,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
▸2000년 : 지방경찰청 14개|경찰서 230개|파출소 2,914개
▸2001년 : 지방경찰청 14개|경찰서 231개|파출소 2,930개
▸2002년 : 지방경찰청 14개|경찰서 231개|파출소 2,944개
▸2003년 : 지방경찰청 14개|경찰서 233개|파출소 2,945개

※ 노무현 정부는 지구대를 2003.6.1.부터 전국 40개 경찰서에 대해 시범운영에 들어가 2003.8.1.부터 전국 경찰서 866개 지구대로 확대했다. 지구대 체제 출범 시 전국적으로 2,945개소에 달하였던 파출소는 866개의 지구대와 213개의 파출소로 정리되었다.

이어 2003.9.17. ‘지역경찰 조직 및 운영에 관한 규칙(경찰청훈령 제409호)’을 제정해 이에 근거하여 그 시행일인 2003.10.15.부터 정식 운영하였다. 그러나 이때의 '경찰법'에서는 아직 지구대 설치를 법정화하지 않은 상태이다. 법 제17조(경찰서장) 제3항에서는 “경찰서장 소속하에 지서 또는 파출소를 둔다.”로만 규정되어 있었다. 이후 1년 후인 2004.12.23. “경찰서장 소속하에 지구대 또는 파출소를 두고, 그 설치기준은 치안수요·교통·지리 등 관할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출장소를 둘 수 있다’로 개정해 지구대 설치 근거를 마련했다.

이 ‘경찰법’은 문재인 정부의 2020.12.22.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의 시행에 따른 전면적인 개편이었다. 개정내용의 시행일은 2021.1.1.이다.

❙ 지구대 시행(2004.12.23. 경찰법 개정으로 지구대 설치근거 마련|동일자 시행)
▸2004년 : 지방경찰청 14개|경찰서 233개|지구대 871개|파출소 199개
▸2005년 : 지방경찰청 14개|경찰서 234개|지구대 872개|파출소 220개
▸2006년 : 지방경찰청 14개|경찰서 235개|지구대 826개|파출소 528개
▸2007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38개|지구대 826개|파출소 544개
※ 16개 지방경찰청 : 위 14개 + 광주지방경찰청·대전지방경찰청 신설(2007.7.2.)
- 16개 지방경찰청 :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울산, 대전, 광주, 경기,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

▋ 행정안전부 산하 경찰청
▸2008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41개|지구대 816개|파출소 580개
▸2009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44개|지구대 773개|파출소 760개
▸2010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48개|지구대 423개|파출소 1,517개
▸2011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49개|지구대 428개|파출소 1,517개
▸2012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49개|지구대 428개|파출소 1,519개

▋ 안전행정부 산하 경찰청
▸2013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50개|지구대 512개|파출소 1,436개

▋ 행정지치부 산하 경찰청
▸2014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50개|지구대 515개|파출소 1,438개
▸2015년 : 지방경찰청 16개|경찰서 251개|지구대 514개|파출소 1,463개
▸2016년 : 지방경찰청 17개|경찰서 252개|지구대 516개|파출소 1,473개
※ 17개 지방경찰청 : 경기지방경찰청이 경기남부지방경찰청(30개서)과 경기북부지방경찰청(11개서)으로 분리(2016.3.25.)
- 17개 지방경찰청 :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울산, 대전, 광주, 경기북부, 경기남부,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

▋ 행정안전부 산하 경찰청
▸2017년 : 지방경찰청 17개|경찰서 254개|지구대 518개|파출소 1,486개
▸2018년 : 지방경찰청 17개|경찰서 255개|지구대 582개|파출소 1,433개
▸2019년 : 지방경찰청 18개|경찰서 255개|지구대 585개|파출소 1,436개
※ 18개 지방경찰청 : 위 17개 + 세종지방경찰청 신설(2019.6.25.)
- 18개 지방경찰청 :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울산, 대전, 세종, 광주, 경기북부, 경기남부,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
▸2020년 : 지방경찰청 18개|경찰서 257개|지구대 595개|파출소 1,438개

▋ 행정안전부 산하 경찰청과 자치경찰 시·도경찰청
▸2021.1.1.부터 자치경찰제 시행으로 기존의 지방경찰청 명칭은 지방을 뺀 시·도경찰청 명칭으로 변경
예)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 → 서울특별시경찰청, 부산광역시지방경찰청 → 부산광역시경찰청, 대전광역시지방경찰청 → 대전광역시경찰청, 세종특별자치시지방경찰청 →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충청북도지방경찰청 → 충청북도경찰청, 제주특별자치도지방경찰청 →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연도별 경찰관 정원(현원)

※ 주) 아래 정원치안총감~순경 계급의 경찰관 총정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별정. 일반. 기능. 계약직 공무원과 전·의경수는 포함되지 않으며 해양경찰도 제외한다.

경찰기관의 장은 정원을 초과하여 현원을 배치할 수 없다(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조직 및 정원관리 규칙 제12조). 

▸1968년 : 40,620명
▸1969년 : 42498명
▸1970년 : 43,003명
▸1971년 : 43,514명
▸1972년 : 43,514명
▸1973년 : 43,516명
▸1974년 : 44,024명
▸1975년 : 44,044명
▸1976년 : 44,740명
▸1977년 : 45,860명
▸1978년 : 47,963명
▸1979년 : 49,964명
▸1980년 : 56,003명
▸1981년 : 56,357명
▸1982년 : 61,051명
▸1983년 : 61,052명
▸1984년 : 58,267명
▸1985년 : 59,907명
▸1986년 : 63,471명
▸1987년 : 66,169명
▸1988년 : 66,820ㅍ
▸1989년 : 70,551명
▸1990년 : 80,021명
▸1991년 : 84,926명
▸1992년 : 89,090명
▸1993년 : 90,108명
▸1994년 : 90,558명
▸1995년 : 90,657명
▸1996년 : 87,419명
▸1997년 : 89,629명
▸1998년 : 90,555명
▸1999년 : 90,623명
▸2000년 : 90,670명
▸2001년 : 90,819명
▸2002년 : 91,592명
▸2003년 : 92,165명
▸2004년 : 93,271명
▸2005년 : 95,336명
▸2006년 : 95,613명
▸2007년 : 96,324명
▸2008년 : 97,732명
▸2009년 : 99,554명(현원 98,160명)
▸2010년 : 101,108명(현원 120,749명)
▸2011년 : 101,239명(현원 100,270명)
▸2012년 : 102,386명(현원 105,261명)
▸2013년 : 105,357명(현원 103,799명)
▸2014년 : 109,364명(현원 108,948명)
▸2015년 : 113,077명(현원 110,821명)
▸2016년 : 114,658명(현원 114,979명)
▸2017년 : 116,584명(현원 116,242명)
▸2018년 : 118,651명(현원 117,037명)
▸2019년 : 122,913명
▸2020년 : 126,227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