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양국은 1953년 체결된 ·미 상호방위조약을 기반으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 중

역사적 배경

미국의 6·25 참전(·미 동맹의 성립)

1950625일 한국전쟁 발발 직후, 미국은 자국 병력의 한국전 참전을 신속하게 결정하는 동시에, UN 안보리 결의 채택을 주도하여 유엔 회원국 16개국의 파병(통합사령관 : 맥아더 장군)을 이끌어 냄.

·미 양국은 1953727일 정전 성립 후 같은 해 10·미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이후 한국 대외관계의 근간이 된 한·미 동맹관계를 수립

·미 상호방위조약

한국전쟁 종결 직후, 북한의 재침시 미국 등 우방 개입의 법적 근거르 마련할 필요성이 있어 그에 따라 체결

1953101일 변영태 외무장관과 Dulles 미 국무장관의 ·미 상호방위조약서명(미국 워싱턴), 양국 국회 비준을 거쳐 19541118일부로 발효

미군의 한국 주둔을 위한 제도적 보장장치이며, 연합방위체제의 법적 근간으로서, 주한미군지위협정(SOFA)및 정부간 또는 군사당국간의 각종 안보·군사관련 후속 협정들의 기초 제공

·미 군사안보협력 체제의 발전

주한미군

개요

- ·미 상호방위조약4조에 근거하여 주둔

상호적 합의에 의하여 결정된 바에 따라 미합중국의 육군, 해군과 공군을 대한민국의 영토 내와 그 부근에 배비(配備)하는 권리를 대한민국은 이를 허여(許與)하고 미합중국은 이를 수락한다.”

- 한반도에서의 전쟁 억지,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 유지에 기여

- 주요 전력 : 미 제8육군사, 미 제7공군사

주한미군 수준 유지

- ·미 양국은 2004105년간(2008년 말까지) 3단계에 걸쳐 총 12,500명 감축(37,50025,000)에 합의하였으나, 20084월 캠프 데이비드 한·미 정상회담시 주한미군 병력을 28,500명 수준으로 유지키로 합의

- 200810월 제40차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시 주한미군 수준 유지 공약 이행 재확인

이후 매년 SCM 공동성명을 통해 주한미군 병력 수준 유지 대외 발표

·미 연합방위체제

󰋮 ·미 연합사령부(CFC : Combined Forces Command)

창설 연혁

- 1977년 제10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에서 서종철 국방장관과 브라운 미 국방장관간에 연합군사령부(연합사) 창설 합의

- 1977년 제10SCM에서 합의한 군사위원회 및 한·미 연합군사령부 권한 위임사항1978년 연합 창설을 위해 최초 개최된 군사위원회회의(MCM)에서 하달한 전략지시1에 따라 1978117일 용산 미군기지 내에 한·미 연합군사령부 창설

임무 및 유엔사와의 관계 설정

- ·미 연합군사령부 창설로 한국전쟁 직후 ·미 합의의사록에 따라 그동안 유엔사령관에게 위임되었던 작전통제권이 한국군이 참여하는 군사령관에게로 전환

평시 한국 합참과의 긴밀한 협조 하에 한반도 전쟁억지를 위한 위기관리

전시 대비 계획 발전 및 연습을 통해 한·미 연합전력을 운용, 한국 방어임무 수행 준비

- 유엔군사령부는 정전협정 유지에 대해서만 계속 책임지고, 연합군사령관은 정전협정의 유지 및 관리에 관한 한, 유엔군사령관의 지시에 따르도록 함으로써 유엔사와 연합사 간의 관계를 상호 지원 및 협조 관계로 설정

·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 :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 1968년 연례 국방 각료회의로 출발, 19712월 제4차 회의부터 '·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로 개칭

- 양국 국방장관을 수석대표로 양국 외교·국방 고위관계자가 참여하는 안보 정책 협의 기구로 발전(2016년 현재까지 총 47차례 개최)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Korea-US Integrated Defense Dialogue )

- 201110월 제43SCM에서 양국 간의 다양한 안보 협의체에 대한 통합·조정 및 감독을 위해 국방부 정책실장과 미 국방부 정책차관이 주관하는 고위급 정책 협의체인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를 신설하기로 합의한 이래 연2회 정례적으로 개최

·미간 안보협의체

한·미간 안보협의체


안보정책구상회의(SPI: Security Policy Initiative)

- 미래 지향적 한 · 미 동맹발전을 위해 주요 동맹현안, 미 안보 협력방향 논의

억제정책위원회(DSC: Deterrence Strategy Committee)

- 북한 핵 · WMD 위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대응하기 위한 한.미간 협력 방안 논의

* 확장억제정책위원회(EDPC)와 미사일 대응능력위원회(CMCC)를 통합하여 2015년 출범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공동실무단(COTWG : Condition-based OPCPN Transition Working Group)

-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COTP) 이행 및 제반 현안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한·미 국방부 간 협의체

(전략동맹 공동실무단(SAWG)을 대체하여 출범)

관련 문서

∙ ·미 상호방위조약(1953)

∙ 20096·미 동맹 미래비전

∙ ·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1968~2014, 1~46)

∙ ·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201547, 201648)

∙ 20135.미 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

∙ 20124월 제1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29월 제2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32월 제3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37월 제4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44월 제5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49월 제6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54월 제7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59월 제8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64월 제9 ·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69월 제10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 20126월 제2차 한·미 외교·국방(2+2) 장관회의 공동성명

∙ 201410월 제3차 한·미 외교·국방(2+2) 장관회의 공동성명

∙ 201610월 제4차 한·미 외교·국방(2+2) 장관회의 공동성명

* 출처: 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