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4.5.20. 치러진 제3대 국회의원선거 민의원의원(民議院議員) 선거는 휴전협정에 따라 휴전선 이북지역으로 편입된 경기도 7개 선거구(개성시, 장단군, 개풍군, 연백군 갑·을, 옹진군 갑·을)에서는 선거가 실시되지 못해 민의원  203명의 의원을 선출하는데 그쳤다. 민의원의원 선거는 1선거구 1인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로 당시 투표율은 91.1%를 기록했다. 이때에는 무소속 출마가 허용되었다. 1952.7.7. 제1차 개정 헌법에 따라 소선거구제에 의한 민의원과 중선거구제에 의한 참의원의 양원으로 구성하게 되어 있었으나 한국전쟁 등 당시의 복잡한 국내 사정으로 인하여 참의원 구성에 필요한 입법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해 참의원의원(參議院議員) 선거는 실시되지 못했다.


✔  1958.5.2. 치러진 제4대 국회의원선거 민의원의원(民議院議員) 선거는 민의원 의석 정수 233석에 1선거구 1인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로 당시 투표율은 87.8%를 기록했다. 무소속 출마가 허용되었다. 참의원의원(參議院議員) 선거도 함께 치러야 했으나, 당시 이승만 정부 집권 여당인 자유당의 반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  1960.7.29.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선거 민의원의원(民議院議員) 선거·참의원의원(參議院議員) 선거는 민의원 의석 정수 233석에 1선거구 1인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와 참의원 의석 정수 58석에 서울시·도 단위 1선거구 2~4인의 의원을 선출하는 첫 대선거구제(201명의 후보가 입후보)로 치러졌다.

1960.6.15. 개정된 제3차 헌법(헌법 제4호)의 양원제 규정에 따른 민의원의원의 정수와 선거에 관한 사항은 법률로써 정하도록 함에 따라 1960.6.23. 가존의 '참의원의원선거법'과 '민의원의원선거법'을 각각 폐지하고 '국회의원선거법'을 제정해 민의원과 참의원에 관한 규정을 신설했다. 헌법에는 민의원의원의 임기는 4년으로 하고, 참의원의원의 임기는 6년으로 하되 3년마다 의원 2분의 1을 개선(改選)하고, 참의원의원은 특별시와 도를 선거구로 하여 법률의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선거하며 그 정수는 민의원의원정수의 4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했다. 참의원의원선거 투표용지는 1명만 기표하는 단기명투표(單記名投票)가 아닌 선거구 의원 정수의 2분의1까지 기표할 수 있는 제한연기명투표(制限的連記名投票: 1선거구 의원정수의 일부만 기표)를 적용했다. 피선거권의 경우 민의원은 만 25세이상, 참의원은 30세 이상으로 규정했다.


○ 제헌국회 1948.5.31. ~ 1950.5.30.(임기기간 2년)
▸선거일 : 1948.5.10.

○ 제2대 국회 1950.5.31. ~ 1954.5.30.(임기기간 4년)
▸선거일 : 1950.5.30.

○ 제3대 국회 1954.5.31. ~ 1958.5.30.(민의원 임기기간 4년|참의원은 구성되지 아니함)
▸민의원선거 선거일 : 1954.5.20.

→ 지역구별 민의원(하원) 당선자 : 203명

○ 제4대 국회 1958.5.31. ~ 1960.7.28.(민의원 임기기간 2년 1개월 28일|참의원은 구성되지 아니함)
▸민의원선거 선거일 : 1958.5.2.

→ 지역구별 민의원(하원) 당선자 : 233명

○ 제5대 국회 1960.7.29. ~ 1961.5.16.(임기기간 9개월 18일)
▸민의원선거 선거일 : 1960.7.29.
▸참의원선거 선거일 : 1960.7.29.

→ 지역구별 민의원(하원) 당선자 : 233명
→ 지역구별 참의원(상원) 당선자 : 58명

더보기

서울특별시 제1부 : 백낙준(무소속), 한통숙(민주당), 김동명(민주당)
서울특별시제2부 : 이인(무소속), 고희동(민주당), 전용순(민주당)
경기도 제1부 : 여운홍(무소속), 정낙필(무소속), 신의식(자유당)
경기도 제2부 : 하상훈(민주당), 김용성(민주당), 이교선(무소속)
강원도 제1부 : 정순응(민주당), 김대식(무소속)
강원도 제2부 : 김병노(민주당), 김진구(민주당)
충청북도 제1부 : 박기운(민주당), 송필만(민주당)
충청북도 제2부 : 박찬희(민주당), 오범수(자유당)
충청남도제1부: 이범석(무소속), 심종석(민주당), 이범승(민주당)
충청남도 제2부 : 이훈구(사회대중당), 정긍모(무소속), 한광석(자유당)
전라북도 제1부 : 소선규(민주당), 강택수(민주당), 송방용(무소속)
전라북도 제2부 : 양춘근(무소속), 엄병학(민주당), 엄민영(민주당)
전라남도 제1부 : 황성수(자유당), 조국현(민주당), 김남중(무소속), 이남규(민주당)
전라남도 제2부 : 박철웅(무소속), 정문갑(무소속), 최상채(민주당), 양회영(민주당)
경상북도 제1부 : 백남억(민주당), 이효상(무소속), 송관수(무소속), 최희송(민주당)
경상북도 제2부 : 이원만(민주당), 권동철(무소속), 김장섭(무소속), 최달희(한국사회당)
경상남도 제1부 : 안호상(무소속), 오위영(민주당), 김용주(민주당), 설창수(민주당)
경상남도 제2부 : 윤치형(민주당), 김형두(무소속), 정상구(혁신동지회총연맹), 김달범(무소속)
제주도 제1부 : 강재량(민주당)제주도 제2부 : 강경옥(무소속)

▪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5.19. ~ 1963.12.16.(기간 2년 6개월 27일)

○ 제6대 국회 1963.12.17. ~ 1967.6.30.(임기기간 3년 6개월 14일)
▸선거일 : 1963.11.26.

○ 제7대 국회 1967.7.1. ~ 1971.6.30.(임기기간 4년)
▸선거일 : 1967.6.8.

○ 제8대 국회 1971.7.1. ~ 1972.10.17.(임기기간 1년 3개월 17일)
▸선거일 : 1971.5.25.

○ 제9대 국회 1973.3.12. ~ 1979.3.11.(임기기간 6년)
▸민선 선거일 : 1973.2.27.
▸통일주체국민회의 선거일 : 1973.3.12.

○ 제10대 국회 1979.3.12. ~ 1980.10.27.(임기기간 1년 7개월 16일)
▸민선 선거일 : 1978.12.12.
▸통일주체국민회의 선거일 : 1978.12.21.

▪ 국가보위입법회의 1980.10.28. ~ 1981.4.10.(기간 5개월 13일)

○ 제11대 국회 1981.4.11. ~ 1985.4.10.(임기기간 4년)
▸선거일 : 1981.3.25.

○ 제12대 국회 1985.4.11. ~ 1988.5.29.(임기기간 3년 1개월 18일)
▸선거일 : 1985.2.12.

○ 제13대 국회 1988.5.30. ~ 1992.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1988.4.26.

○ 제14대 국회 1992.5.30. ~ 1996.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1992.3.24.

○ 제15대 국회 1996.5.30. ~ 2000.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1996.4.11.

○ 제16대 국회 2000.5.30. ~ 2004.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2000.4.13.

○ 제17대 국회 2004.5.30. ~ 2008.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2004.4.15.

○ 제18대 국회 2008.5.30. ~ 2012.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2008.4.9.

○ 제19대 국회 2012.5.30. ~ 2016.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2012.4.11.

○ 제20대 국회 2016.5.30. ~ 2020.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2016.4.13.

○ 제21대 국회 2020.5.30. ~ 2024.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2020.4.15.

○ 제22대 국회 2024.5.30. ~ 2028.5.29.(임기기간 4년)
▸선거일 : 2024.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