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카테고리
      • 전체 글 N
        • 정치
        • 국회 N
        • 사회
        • 지방
        • 연예
        • 법률
        • 국외
        • 정보
        • 자료
        • 최순실
        • 조국
        • 선거
  • 방명록
    • Admin
    • Write
  • HOME 전체
    •   카테고리
        • 전체 글 N
          • 정치
          • 국회 N
          • 사회
          • 지방
          • 연예
          • 법률
          • 국외
          • 정보
          • 자료
          • 최순실
          • 조국
          • 선거
    • 방명록
      • Admin
      • Write
    도무재닷컴

    문재인 아들 문준용(Jun Yong Moon) 사이트 안내

    정보 2019. 6. 12.

    ○ Jun Yong Moon(google blogspot)

    • Jun Y. Moon's School Works

    • Echoes of Motion

    • Writing for Designers

    • CODE 2008 sec D

    • Travel Diary

    • code+motiongraphics+interaction

    • Joon Portfolio


    • 망상 공작소(egloos blog)

    • Joon Moon(youtube)

    • Joon Moon(Pinterest)

    • 문준용(Joon Moon) 페이스북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일기본조약 부속3]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어업에 관한 협정(=신한일어업협정 조약 제166호)  (0) 2019.07.09
    [한일기본조약 부속4]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문화재 및 문화협력에 관한 협정(조약 제181호)  (0) 2019.07.08
    [전교조 일지] 전교조의 법외노조와 합법화, 현재 어떤 상황인가?  (0) 2019.06.05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의 법외노조 합법화 과정  (0) 2019.06.04
    국가보훈처 산하기관 및 관련 사이트, 지방보훈청 관할구역, 국립묘지 등 안내  (0) 2019.02.23
    정보
    • [한일기본조약 부속3]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어업에 관한 협정(=신한일어업협정 조약 제166호)

      한·일간의 단절된 국교를 다시 정상화시키고,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에 있어서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일본으로부터 확약 받으며, 양국의 무역, 해운 등 통상 상의 교류 관계를 지속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한일기본조약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과 이에 부속된 4개의 협정 및 25개의 문서를 1965년 6월 22일 일본 동경 총리관저에서 한일 양국 수석대표가 조인하였다. 한일기본조약에 부속된 4개의 협정은 다음과 같다. 1.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조약 제172호, 약칭 한일청구권협정) 2.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일본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민의 법적지위와 대우에 관한 협정조약(조약 제164호)」 3.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어업에 ..

      2019.07.09
    • [한일기본조약 부속4]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문화재 및 문화협력에 관한 협정(조약 제181호)

      한·일간의 단절된 국교를 다시 정상화시키고,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에 있어서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일본으로부터 확약 받으며, 양국의 무역, 해운 등 통상 상의 교류 관계를 지속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한일기본조약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과 이에 부속된 4개의 협정 및 25개의 문서를 1965년 6월 22일 일본 동경 총리관저에서 한일 양국 수석대표가 조인하였다. 한일기본조약에 부속된 4개의 협정은 다음과 같다. 1.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조약 제172호, 약칭 한일청구권협정) 2.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일본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민의 법적지위와 대우에 관한 협정조약(조약 제164호)」 3.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어업에 ..

      2019.07.08
    • [전교조 일지] 전교조의 법외노조와 합법화, 현재 어떤 상황인가?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1987년 출범한 '전국교사협의회'를 모체로 하여 1989.5.28. 설립되었고, 1999.1.29. 제정된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정식 노동조합으로 합법화되었다. 그러다가 지난 2013.9.23. 고용부는 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시행령' 제9조2항에 따라 전교조 해직자 9명을 노조활동에서 제외하지 않으면 한 달 후 법외노조임을 통보하겠다고 전교조에 예고했고, 이에 전교조는 10.16일 ~ 18일 조합원 총투표를 실시하고 규약 개정을 거부했다.● 법외 노조이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2013.10.24. 전교조에 노동조합으로 보지 아니함을 공식 통보함으로서 전교조는 1999년 7월 합법화한 이래 14년 만에 법률상 ..

      2019.06.05
    •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의 법외노조 합법화 과정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은 2002년 3월 23일 출범하였다. 법외투쟁을 주장하던 전공노를 탈퇴해 2007년 6월 23일 합법화된 '전국민주공무원노동조합'이 다시 만들어졌다.2009년 9월 21일 ~ 22일 전 조합원 총투표를 통해 전국공무원노동조합과 전국민주공무원노동조합, 법원공무원노동조합의 3개 조직의 통합 및 민주노총 가입을 결정지었고, 2010년 2월 23일 ~ 24일 전국통합공무원노동조합(신설합병)의 명칭을 '전국공무원노동조합'으로 하는 규약 재·개정 조합원 총투표 실시하여 가결 지었다.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그들의 노동조합 규약에서 해직자를 조합원으로 인정했고, 실제로 다수의 해직자가 임원으로 활동하는 상황에서 다섯 차례 '노동조합 설립 신고서'를 제출했지만 법은 근로자가 아닌 자의 가입을 허용..

      2019.06.04
    더 보기

    카테고리

    • 전체 글 N
      • 정치
      • 국회 N
      • 사회
      • 지방
      • 연예
      • 법률
      • 국외
      • 정보
      • 자료
      • 최순실
      • 조국
      • 선거
  • POPULAR

    RECENT

    TOTAL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