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15

한국의 양적완화 바람직한가?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서강대 석좌교수. 진행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

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


양적완화는 단순한 돈 풀기아니다


-김광두: 총선은 끝났습니다. 경제는 계속 어려운 상태에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한 번 돈을 푸는 문제, 양적 완화가 정책 이슈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과연 바람직한 정책방향인지 함께 검토해보지요.


신세돈: 한 나라의 중앙은행은 그 나라의 통화량과 금리를 조정하는 두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역사적으로 보면 통화량을 조절하는 것이 많이 동원됐습니다. 그러다 1980년대 후반 들어 통화량을 적절히 공급하는 것이 여러 가지 무리가 많다 해서 1986년도부터 미국을 필두로 통화 정책을 금리 관리 정책으로 바꿨어요.


그런데 한 30년 하다보니까 그 동안 금리가 계속해서 내려왔거든요. 이제 더 이상 내릴 수가 없는 것이죠. 그러니까 금리를 더 내릴 수 없는 한계 상황이 오니까, 보조적인 수단으로 돈의 양을 좀 늘려보자는 그런 차원에서 이제 양적완화 정책이라는 것이 2008년도를 전후로 해서 등장하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금리는 더 내릴 수가 없고 따라서 돈을 풀어서 금융시장의 어떤 위기라든가 또는 경기침체를 해소시켜 보자고 하는 정책이 우리가 이야기하는 양적완화 정책입니다.


김동원: 전통적인 통화정책하고 구별을 해서 양적완화라고 이름을 붙이는 이유는 전통적인 통화정책이 더 이상 시장 기능을 움직일 수가 없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나온 일종의 비상대책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양적완화라고 하는 것이 단순하게 중앙은행이 상업은행이 가지고 있는 증권을 사들여서 돈을 푸는 게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거는 미국이 세 번에 걸쳐서 했던 QE도 그렇고, 유럽의 경우도 그렇고 굉장히 아주 세밀한 그런 목표를 가지고 있고 그 다음에 그 타깃을 어떻게 달성하느냐 하는 복잡한 경로가 있었습니다.


그런 고려 하에서 이 정책을 실시해야 하고, 그 다음에 또 하나는 우리가 주목해야 될 것은 어떤 정책이든 간에 반드시 그 목표만이 있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양적 완화 정책 자체도 상당히 부작용이 큰 정책이라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광두: 경제가 어려우니까 전 세계적으로. 전통적으로는 금리를 낮춰주면 경제가 좀 풀리는, 그런 생각을 우리가 하고 있었는데 그거 가지고는 이제 한계에 부딪히니까 아예 돈을 더 많이 풀어버리는 그런 방향으로 갔다는 것을 양적완화로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그 방향이 상당히 정교해야 효과가 있지, 그냥 돈만 푼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씀들인데 한국의 경우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그동안 돈을 우리는 별로 안 풀었지 않느냐?, 이런 생각을 가진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박근혜 정부 3년 동안 45조 이상 돈 풀려


신세돈: 지난 노태우 정부 이후 우리가 여섯 정부를 경험하고 있는데 박근혜 정부는 지금까지 3년 밖에 안 지났거든요. 그런데도 한국은행이 양적완화, 즉 돈을 얼마나 풀었느냐 하면 3년 동안 늘어난 돈이 45조 원 정도 늘었어요. 그런데 이명박 정부 5년 동안 32조 원 밖에 안 늘었고요. 노무현 정부 5년 동안은 18조 원 밖에 안 늘었고, 김대중 정부는 IMF 기간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5년 동안 15조 원 밖에 안 늘렸습니다.

그러니까 박근혜 정부 3년 동안 45조 이상 풀었다고 하면, 이것은 역대 정부 5년 늘어난 돈보다도 최소한 3, 4배 이상 증가한 것입니다. 그러면 지난 3년 동안양적 완화 효과가 나타났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습니다. 돈을 지금 계속해서 풀어도, 풀어도 금리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경제로 이렇게 퍼져나가지 않고 계속해서 어디론가 숨고 있어요.

돈이 안도는 것이죠. 이게 우리가 어려운 말로 하면 통화승수라고 하는데, 통화승수가 10년 전에는 30이었어요. 지금은 17로 줄었습니다. 더 문제는 이게 계속해서 내려간다는 이야기죠. 이런 상황에서 돈을 풀어봤자 돈이 돌지 않으면 경제 활력을 살리는 데는 소용이 없지요.


-김광두: 지금 양적 완화를 이야기 하니까 돈 풀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사실은 여기에 덧붙여서 부채가 늘어난 것까지 포함을 하면 이게 상당히 많은 돈이 이미 풀렸다. 이렇게 볼 수도 있는데 .


김동원: 우리가 양적 완화라고 하는 것을 중앙은행이 특수한 수단으로 돈을 푸는 것이라고 본다고 신교수님은 이미 박근혜 정부에 와서는 엄청나게 돈을 풀었다, 그 말씀을 하시는 것이거든요.

그런데 우리가 지금 이야기하고 있는 중앙은행의 소위 양적완화 (QE,quantitative easing ) 라고 하는 것은 단순하게 돈을 푸는 것이 아니고 전통적인 통화정책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특별한 목표와 경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총선 과정에서 새누리당에서 내걸었던 것처럼 산업 은행의 채권을 사주어서 중앙은행이 돈을 푼다고 한다면 그럼 그러한 통화정책의 목표는 무엇이냐를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금리로 따지면 이미 금년 들어와서 우리 3년 만기 부채가 0.2% 이하로 지금 가까이 떨어졌거든요. 금리는 이미 떨어지고 있죠.

그 다음에 기업은, 작년 말 현재로 현금 예금만 497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작년에만 현금이 52조가 늘어났어요. 그러면 기업에 돈이 충분히 있죠,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면. 양적완화를 해서 이 돈을 누구에게 주자는 것이냐는 의문이 생깁니다.

 

미국은 3차례 양적 완화로 경제 회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