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2016.05.21
조선·해운업계가 정부 주도 하에 구조조정 중인 가운데 경제 전체에 드리운 그늘이 짙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건설업계. 산업 전체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건설업계는 대표적인 경기취약업종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주택시장과 해외 건설사업이 침체되며 인수·합병(M&A)마저 어려운 상황에 놓여 건설업계를 바라보는 시선이 싸늘하다.
◆구조조정 시급한데 건설사 난립
건설사 수는 2000년 3만9000개에서 최근까지 약 5만7000개로 증가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건설업계는 가장 먼저 수술대에 올랐으나 기초체력은 반대로 악화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08~2014년 부실기업 1618개가 사라졌지만 재무구조는 더 나빠졌다.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비율은 2008년 387.4%에서 2014년 201.9%로 떨어졌다. 이자보상비율이 낮을수록 영업이익이 이자를 상쇄하지 못하는 부실기업이 된다. 평균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도 같은 기간 5.8%에서 2.2%로 떨어졌다. 적자를 낸 건설사 비율은 2008~2014년 16%에서 18.7%로 증가했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산업재편을 추진하며 건설업계에 대해 상시 신용위험을 평가 후 개별기업의 사후 구조조정을 실시하기로 했다. 개별기업의 부실발생 시 채권단 주도의 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단행한다는 방침. 올해 3월 기준 시공능력 100위권 중 14개 건설사가 구조조정 중이며 법정관리를 밟는 회사가 9곳에 달한다.
계열사의 지급보증을 금지하는 주채무계열도 증가했다. 2016년 주채무계열은 39개로 소속 계열사 수는 4443개, 전년대비 73개가 증가했다. 정부는 주채무계열에 대해선 일부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채권단이 신규자금을 대출하거나 만기를 연장해주고 기업은 자산매각과 비용절감, 사업재편을 단행해야 한다.
◆대기업들 건설사 포기… M&A 잇단 실패
올해 주채무계열은 지난해 말 계열사의 신용공여액이 1조3581억원 이상인 대기업들로 건설사 중에는 태영건설이 신규편입됐다. 지난해 주채무계열이었던 동부와 현대산업개발은 제외됐다. 또한 대우건설과 한진중공업이 포함돼 있고 이외에 건설 계열사를 둔 그룹은 삼성, 롯데, LS, SK, GS, 세아, 태영, 한솔 등이다.
한 대기업그룹 관계자는 "앞으로 건설경기가 나아질 모멘텀이 부족하기 때문에 산업재편 과정에서 건설업을 축소하거나 매각하려는 기업들이 많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융당국의 고위관계자도 "일부 건설사들이 자산을 매각해 사업을 축소시키고 있지만 재무구조가 일시적으로 나아질 뿐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시공능력 10위권 수준 건설사의 자산대비 부채비중을 보면 GS건설(74%) 쌍용건설(73%) 대우건설(72%) 두산건설(66%) 현대건설(61%) 대림산업(60%) 포스코건설(58%) 삼성물산(56%) 현대산업개발(55%) 등이다. 구조조정이 언급되는 대우건설과 두산건설의 자본대비 부채비율은 각각 258%, 198%에 달한다.
경기침체로 도산한 중소·중견 건설사들도 새 주인 찾기에 실패하고 있다. M&A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원샷법)이 8월 시행을 앞두고 정부가 사전수요를 조사했지만 참여하겠다는 건설사는 한곳도 없다. 법정관리 중인 동부건설, 동아건설산업, 경남기업, 삼부토건은 M&A 시장에서 방황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무자격·부실기업의 퇴출시스템을 운영하며 업계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공사수행 능력과 기술자확보 수준을 조사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영업정지나 등록말소해 시장에서 퇴출시킬 방침이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최근 "입찰제도의 변별력을 강화해 부적격·부실기업이 도태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대 국회 끝까지 지각·조퇴…노동법안 끝내 폐기 (0) | 2016.05.22 |
---|---|
'임을 위한 행진곡' 강제는 전체주의 국가에서나 있을 수 있는 일.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0) | 2016.05.22 |
보상휴가제란? (0) | 2016.05.21 |
직무 성과급제 도입 및 운영을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 방안 (0) | 2016.05.21 |
서비스산업 확충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서비스산업발전 기본법) (0) | 2016.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