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원문 중앙일보

 

간헐적 폭발장애’ 5년 새 33% 늘어

데이트 폭력 등 사회범죄로 이어져


하는 마음을 억누르지 못하고 폭발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분노 조절이 안 돼 자주 과도하게 표출하는 증상을 흔히 분노조절장애라고 부른다. 정확한 병명은 간헐적 폭발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부정적인 결과가 예측되는데도 분노를 반복적으로 과하게 분출할 때 진단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이 같은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93720명에서 20134934명으로 5년 사이 32.6%나 증가했다. 이처럼 분노조절장애가 급증하는 이유는 뭘까.


안용민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회가 복잡해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스트레스는 커진 반면 이를 적절히 해소할 수 있는 정서적·시간적 여유가 없어졌다여기에 영화, 게임 등의 폭력적인 장면을 접하면서 분노 폭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김병수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분노도 중독이 된다. 화를 내서 해결되는 경험을 맛보면 분노로 뭐든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화를 내면 나쁜 사람이란 인식 강해

속이 부글부글 끓어도 참는 게 문제


분노조절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은 생물학적, 사회·경제적, 문화·환경적 측면 등 다양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특히 분노 조절에 취약한 사람이 있다고 말한다


자극에 예민하면서 조급하고 

화를 무조건 참고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고 

자주 화를 내는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 등이다.


공진수 동행심리치료센터장은 분노는 억압이 아닌 조절의 대상이기 때문에 누르면 누를수록 용수철처럼 튀어 오른다한국인은 화를 내면 나쁜 사람이란 인식이 강해 속이 부글부글 끓어도 잘 표현하지 않고 참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분노조절장애가 개인의 문제로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안용민 교수는 자신도 주체하지 못하는 분노 폭발은 폭행부터 살인까지 심각한 사회 범죄로 이어져 타인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보복운전, 데이트폭력, 아동학대 등 그 유형도 다양하다.


갈등 상황 벗어나는 타임아웃훈련

어린시절부터 감정 조절 교육해야


스스로 판단하기에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정도로 분노 조절에 문제가 있다면 전문가를 찾아 상담과 치료를 받는 게 좋다. 안용민 교수는 상담이나 적절한 약물 치료를 통해 환자가 분노를 행동으로 표현하기 전에 감정이나 생각을 스스로 인식하고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말했다.


분노 조절이 쉽지는 않지만 아직 초기 증상이라면 훈련을 통해 조절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 김병수 교수는 자기 감정의 사인을 잘 확인하라고 조언한다. 얼굴이 붉어지거나, 목소리가 떨리는 등 자신만의 분노 사인을 파악해 대처 방법을 미리 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단 분노를 야기하는 상황을 잠시 벗어나는 타임아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공진수 센터장은 갈등 상황이라면 일단 그 상황을 잠시 벗어나 냉각기를 가진 뒤 시간을 정해 놓고 다시 이야기하라. 그러면 차분하게 문제의 본질에 대해 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때 좁은 공간보다는 시야가 트이는 넓은 공간으로 나가 생각을 비우는 게 좋다.


평소 운동과 같은 취미 활동을 통해 쌓여 있는 화를 다른 에너지로 승화시키는 방법도 있다. 김병수 교수는 숙면을 하고 술이나 커피 등 불필요한 자극을 줄이는 등 환경을 바꿔보라고 조언했다.


감정 조절 훈련은 어린 시절부터 이뤄지면 더 효과적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이 때문에 가정이나 학교에서 실시하는 감정 조절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이달 말부터 관련 전문가들이 개발한 교재를 활용해 일부 초등생을 대상으로 감정 조절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1~2학년은 내 안의 감정을 살펴보는 놀이 활동, 3~4학년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게임, 5~6학년은 소통 능력 기르는 역할극으로 구성된다.

 

영화베테랑의 조태오는 분노조절장애 아닌 사이코패스


영화 베테랑의 조태오(유아인)분노조절장애일까, ‘사이코패스일까. 그는 잔인한 행동을 거리낌 없이 한다. 임금 체불에 항의하는 노동자를 어린 아들이 보는 앞에서 폭행하도록 지시하고, 경호원과 이종격투기를 하며 반칙으로 발목을 부러뜨린다. 일이 잘 안 풀리자 키우던 개를 골프채로 내리쳐 죽이기도 한다. 분노를 자주, 과도하게 폭발시킨다는 점에서 얼핏 분노조절장애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는 사이코패스에 가깝다. 자신이 하는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전혀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분노조절장애사이코패스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죄책감이라고 설명한다.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일종인 사이코패스는 공감능력 결핍, 죄책감 결여, 계획적인 범행이란 특징이 있다. 살인 자체를 즐기는 연쇄 살인범들에게서 발견된다. 반면 분노조절장애는 후회를 동반한다. 안용민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분노 폭발과 후회를 반복하는 게 분노조절장애라고 설명했다. 초등생 아들을 숨지게 하고 시신을 훼손해 냉동고에 보관한 친부를 놓고도 논란이 있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시체 훼손이 증거 인멸을 위한 것이고 그가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사이코패스보다는 분노조절장애에 가깝다고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