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예산정책처 사업평가 16-05(통권 355)

□ 要約

❑ 평가 목적

◦ 공공기관 지방이전사업은 2005년부터 시작되어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자립형 혁신도시 건설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며총사업비는 89,881억원임

◦ 공공기관 지방이전사업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당초 계획 대비 추진실적과 에 따른 사업효과와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

❑ 주요 쟁점 및 평가 결과

◦ 2012년까지 이전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나 2015년말 기준 107개 이전대상기관 가운데 89(83.2%)만이 이전하였고가족동반 이주율도 26.6%로 낮은데 이는 이전지역의 교육 ․ 정주여건 미흡 등에 기인

◦ 공공기관의 이전지역인재 채용성과와 혁신도시의 지방세 수입은 증가되고 있으나출장 및 퇴직이 증가하는 등 업무 비효율이 발생

- 이전지역인재 채용비율(평균): 2014년 10.2%2015년 12.8%

- 혁신도시 지방세 수입(합계): 2013년 535억원2015년 7,442억원

- 출장비(합계): 2013년 526억원2015년 717억원

◦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 분양률(43.2%)이 다른 용지 분양률(94~99%)에 비해 낮고산학연 협력사업 시행 및 협력업체 동반이전 실적이 저조함

- 산학연 협력사업: 107개 기관 중 9(8.4%) 기관만이 시행

- 협력업체 동반이전 실적: 7개 기관 54개 업체에 불과

❑ 개선 방향

◦ 미이전 기관의 조속한 이전을 위해 종전부동산 조기매각 ․ 재정투입 등 기관별 필요한 지원조치를 마련하고가족동반 이주율 강화를 위해 이전 지역의 교육 ․ 정주여건 개선관련 미이행 과제를 조기 이행

◦ 이전지역인재 우선채용제도 및 교육협력 강화를 통해 지역인재 채용을 촉진하고스마트워크 활성화 등을 통한 업무 비효율 발생 최소화

◦ 클러스터 용지가격 ․ 입주기준 조정 등을 통해 기업체 유치를 강화하고참여 ․ 투자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등을 통해 산학연 협력사업 및 동반이전 성과 촉진 필요

1. 평가 개요

❑ 2005년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을 발표하면서 시작된 공공기관 지방이전 사업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당초 계획 대비 추진실적과 이에 따른 사업 효과 및 부작용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개선방안 제시

◦ 정부 ․ 지방자치단체 ․ 이전공공기관 등 사업주체의 당초 계획 이행여부를 점검

- 「이전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1) 상 기관이전 및 직원이주 실적을 점검하고이를 위한 정부 ․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제 이행실적을 병행 점검

1)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4조에 따라 개별 공공기관이 이전규모 및 이전시기이전비용 등을 포함하여 수립한 법정 계획이다.

◦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인한 사업효과 및 부작용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점검

- (지역지역인재 채용 등 지역에 미치는 구체적인 사업효과를 조사 ․ 분석 하여 향후 이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

- (공공기관출장 및 퇴직 증가 등 행정비효율 문제를 점검하고 개선방안 제시

◦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다음 목표인 산학연 클러스터가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지 여부를 점검

- 클러스터 용지 분양산학연 협력사업 추진산하기관 및 협력업체 동반 이전실태 등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 성과와 문제점 분석

2. 사업 개요 및 현황

❑ 공공기관 지방이전사업은 수도권 집중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자립형 혁신도시 건설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음

◦ 이전대상 공공기관 수는 107개 이며, 10개 혁신도시 ․ 세종특별자치시 ․ 개별 이전지역 등 12개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전체 총사업비는 89,881억원이고기관 자체재원 76,582억원(85.2%)과 국비 13,299억원(14.8%)으로 구성

3. 기관 이전현황 분석

❑ 당초 계획 대비 기관이전 성과 부진

◦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2005)에서 2012년까지 이전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나, 2015년말 기준 107개 이전대상기관 가운데 89(83.2%)만이 이전

- 18개 기관은 종전부동산 미매각 및 정부 재정지원 지연 등으로 인한 예산 미확보계획변경 및 행정절차 지연 등으로 미이전

❑ 빈번한 계획변경과 사업지연으로 총사업비 증가

◦ 107개 기관의 이전계획이 총 208회 변경되는 과정에서 사업기간은 합계 226년 5개월 연장되고 총사업비는 2,915억원 증가

- 지역별로 보면강원혁신도시(기관당 평균 265억원 증가), 경북혁신도시

(기관당 평균 185억원 증가)의 순으로 비용증가 폭이 큼

- 기관별로 보면교통안전공단(292%), 대한석탄공사(230%), 건강보험심사 평가원(135%)의 순으로 계획 대비 비용증가율이 높음

❑ 종전부동산 매각 지연으로 인한 기관채무 및 재정부담 증가

◦ 은행 차입금으로 종전부동산 미매각대금을 충당하고 있는 8개 기관은 이자 부담이 증가하고국고지원으로 충당하고 있는 3개 기관은 재정부담 증가

- 미매각 종전부동산은 21개 기관 18,458억원 규모로이들 기관 이전비용(24,050억원)의 약 77%를 차지

4. 직원 이주실태 분석

❑ 계획대비 직원 이주율 저조

◦ 39,165명의 직원이전을 목표로 하였으나 2015년말 기준 32,355(82.6%)만이 이전하였으며사업 지연 및 직원 퇴사 ․ 휴직 등에 기인함

- 지역별로 보면충북(54.6%), 제주(69.3%), 강원(71.8%)의 순으로 계획대비 직원 이주율이 낮음

- 기관별로 보면건강보험심사평가원(42.6%), 선박안전기술공단(62.4%), 영화진흥위원회(62.7%)의 순으로 계획대비 직원 이주율이 낮음

❑ 가족동반 이주율 저조

◦ 이전을 완료한 89개 기관의 평균 가족동반 이주율은 26.6%로 매우 저조하며이전지역의 생활환경 및 교육복지 여건 미흡으로 단신이주가 많았기 때문

- 지역별로 보면충북(17.5%), 강원(18.8%)의 순으로 가족동반 이주율이 낮음

- 기관별로 보면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8.3%),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9.0%), 국민건강보험공단(10.8%)의 순으로 계획대비 직원 이주율이 낮음

❑ 중앙정부 ․ 지방자치단체의 이전 지원실적 미흡

◦ 중앙정부는 38개 지원과제 중 교육 ․ 정주여건 관련 7개 과제를 미이행하고지방자치단체는 409개 지원과제 중 교육 ․ 정주여건 관련 30개 과제를 미이행

- 중앙 ․ 지방정부의 교육 ․ 정주여건에 대한 지원 미흡은 계획대비 직원이 주율과 가족동반 이주율 저하에 영향

❑ 직원 이전을 위한 기관장의 리더십 부족

◦ 공공기관 지방이전사업의 실질적인 시행주체라 할 수 있는 기관장이 주소지를 이전한 기관은 전체 89개 기관 중 56(62.9%)이고미이전 기관은 33개 (37.1%)로서 미이전 사유는 자녀교육 ․ 3년임기제 ․ 수도권 업무수행 등임

- 충북의 경우, 5개 기관 모두 기관장이 이전하지 않았고가족동반 이주 율도 평균 17.5%로 가장 낮음

5. 지역활성화 효과성 평가

❑ 이전지역인재 채용 점진적 증가

◦ 이전지역인재에 대한 구체적인 채용목표비율 ․ 목표연도는 설정된 바 없으나전지역인재 채용비율은 2014년 10.2%, 2015년 12.8%로 점진적으로 증가

- 한편이전지역인재 채용비율이 5% 미만인 기관을 대상으로 채용이 저 조한 사유를 살펴보면해당지역 대학 졸업자 지원 및 관련 분야 적격자 가 부족한 것을 원인으로 지적한 기관이 많았음

❑ 이전지역인재 우선채용제도 도입 강화

◦ 지역할당제 ․ 채용목표제 ․ 가산점부여제 등 지역인재 우선채용제도를 도입한 기 관은 107개 기관 가운데 87(81.3%) 기관으로나머지 20개 기관은 미도입

- 우선채용제도 도입기관의 평균 이전지역인재 채용비율은 16.6%이고미 도입기관은 9.7%로 나타나우선채용제도가 지역인재 채용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

- 우선채용제도 중 이전지역인재 채용비율이 높은 수단은 채용목표제(19.3%), 가산점부여제(18.1%), 지역할당제(17.6%)의 순이며중복 도입기관은 25.5%

❑ 이전공공기관과 지역대학 간 교육 ․ 연구협력 미흡

◦ 기관과 대학간 협력내역 유무를 조사한 결과, 107개 기관 중 68(63.4%) 기이 협력하고, 39(36.5%)는 미협력

- 협력강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MOU 체결 41인턴십 운영 14협동과정 개설 13개 기관으로 나타나서대부분은 협력강도가 낮은 MOU 체결형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혁신도시의 지방세 수입 증가

◦ 10개 혁신도시의 지방세 수입은 2013년 535억원에서 2014년 2,128억원, 2015년 7,442억원으로 증가

- 비목별로 보면최근 2년간 가장 수입이 많았던 것은 취득세(4,137억원)과 지방소득세(3,987억원등임

6. 지방이전에 따른 업무효율성 변화 분석

❑ 출장 증가로 인한 업무비효율 발생

◦ 전체 기관의 출장횟수는 2013년 65.6만회에서 2015년 84.2만회로 18.6만회 (28.3%) 증가하였고출장비는 같은 기간 중 526억원에서 717억원으로 191억 원(36.2%) 증가

- 공공기관의 업무 특성상 수도권 ․ 관계부처와의 회의 등을 위한 국내출장이 증가하여 시간과 예산 낭비를 초래한다는 의견이 많음

❑ 스마트워크 도입 및 활용실적 미흡

◦ 지방이전에 따른 출장 증가를 보완할 수 있는 수단으로 고려되고 있는 스마트 워크 시스템 도입현황을 조사한 결과도입기관은 107개 중 44(41.1%)

- 도입기관의 사용횟수는 한국예탁결제원 등 소수의 기관을 제외하고 월평균 회 미만으로 아직까지는 활성화되지 못함

❑ 지방이전 전후의 자발적 퇴직 증가

◦ 전체 퇴직현황을 정년퇴직 ․ 희망퇴직 ․ 명예퇴직 ․ 기타 등으로 구분하고이중에서 정년퇴직을 제외한 자발적 퇴직현황을 집계한 결과, 2013년 2,766명에서 2015년 3,143명으로 377(13.6%) 증가되었고이전지역의 교육 ․ 정주여건 미비에 기인

- 3년간 퇴직자수(합계)는 8,919명으로 총 이전대상 직원수 39,195명의 22.8%를 차지

❑ 기관 이전후 업무시설면적 증가

◦ 지방이전 전후의 업무환경 변화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 ․ 신규 청사 업무 시설 1인당 연면적을 비교한 결과기존 31.6에서 신규 41.1로 9.5㎡ (30.1%) 증가

- 「이전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수립 세부기준(2007)에서 규정된 1인당 연 면적 56.53를 초과하는 기관은 8개 기관임

- 이 중에서 이전비용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받는 공무원연금공단 ․ 게임물 관리위원회 ․ 영상물등급위원회 등이 이전청사 업무면적을 과다하게 조성 한 것은 재정부담 가중 차원에서 적절하지 못함

7. 산학연 클러스터 추진 성과 검토

❑ 클러스터 용지 분양개선 노력 필요

◦ 클러스터 용지의 분양률(43.2%)은 이전기관용지(99.3%), 단독주택용지(95.8%), 업무 용지(93.9%) 등 다른 용지의 분양률에 비해 낮고입주유형별 분양내역 검토 결과지원기관으로 볼 수 있는 행정기관(17.1%) 및 유관기관(10.0%)의 비중이 높음

- 전북과 경북의 경우클러스터 용지 분양률도 14.3~14.4%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하고기업유치수도 0~4개에 불과하여 매우 저조

❑ 산학연 협력사업 추진성과 미흡

◦ 혁신도시별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계획에 따르면이전공공기관에 요구되는 역할은 지역전략사업과 연계한 산학연 협력사업의 추진이며, 107개 기관 중 9(8.4%) 기관만이 시행하고 있어 성과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됨

- 또한 이중 5개 사업만이 상위계획인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계획에 함되는 등 연계 미흡

❑ 산하기관 및 협력업체 동반이전 저조

◦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공공기관에 기대하는 두 번째 역할은 산하기관 및 협력업체의 동반이전인데조사결과 7개 기관 54개 업체에 불과하여 이전 성과는 미흡

- 지역별로 보면부산 ․ 울산 ․ 충북 ․ 제주 ․ 세종 ․ 개별이전지역은 동반이전 실적이 없음

8. 개선방안

❑ 공공기관 이전완료를 위한 지원 및 사후관리 강화

◦ 미이전 기관의 조속한 이전을 위해 종전부동산 조기매각 ․ 재정투입 ․ 이전청사 마련 등 기관별로 필요한 지원조치를 신속히 시행하고미온적 태도로 이전을 지연하는 기관에 대해서는 예산지원 축소 등 보완대책 강구 필요

◦ 가족동반 이주율 강화를 위해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교육 ․ 정주여건 개선 관련 미이행과제를 시급히 이행하고지방이전 성과가 우수한 기관에 대해 인 센티브 조치를 마련하는 등 지원 검토 필요

◦ 재무 ․ 재정부담의 원인이 되고 있는 종전부동산 미매각 문제 해결을 위해입지규제 완화부분 매각 등 매각방식의 다양화 등을 통해 종전부동산 매각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 ․ 시행할 필요

❑ 우선채용제도 도입 및 교육협력 강화를 통한 지역인재 채용활성화

◦ 단기적으로는 지역인재 우선채용제도를 도입하지 않은 기관에 대해 기관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제도 도입 촉진방안을 마련하고중장기적으로는 공공기관과 대학 등이 교육 ․ 연구협력을 강화하여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노력 필요

- 공공기관에서 요구하는 취업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과 교육프로그램이 발전하는 선순환 구조 마련 ․ 정착에 초점

❑ 지방이전에 따른 출장 ․ 퇴직 증가 등 업무비효율 발생 최소화

◦ 출장 증가로 발생한 업무비효율 문제 최소화를 위해 현재 도입 ․ 활용폭이 낮은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활성화하고행정부 ․ 입법부 등과 불요불급한 출장을 최 소화하는 등 기관 상호간 노력 필요

- 각 기관이 보유한 스마트워크 시스템간 호환성을 강화하고이용권한을 확대하여 업무협의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개선 필요

◦ 지방이전 전후의 자발적 퇴직이 증가한 것은 이전지역의 교육 ․ 정주여건 미비 등에 주로 기인한 것이니만큼향후 정부 ․ 지방자치단체 ․ 이전공공기관은 교육 ․ 정주여건 개선에 대해 협력을 강화할 필요

❑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연계 ․ 협력기반 강화

◦ 다른 혁신도시 용지에 비해 낮은 클러스터 용지 분양률 제고를 위해 용지가격 · 입주기준 조정 등을 통해 기업체 유치를 강화할 필요

◦ 현재 낮은 수준의 산학연 협력사업과 협력업체 동반이전 성과를 높이기 위해 서 참여 ․ 투자 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조치를 마련하는 등 촉진방안 마련 필요

細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