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71)

    • [제2차 미북 정상회담] ① 2019.2.27 트럼프와 김정은의 인사 발언 내용

    2019.2.27. 베트남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질문: 대통령님,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성취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트럼프 대통령: 정상회담은 매우 성공적일 겁니다. 훌륭한 관계입니다. 정상회담이 매우 성공적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성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리 두 사람 모두 마찬가지입니다.질문: 북한의 비핵화에 대해서 입장을 바꾸셨나요?트럼프 대통령: 아닙니다.대단히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질문: 대통령님, 한국전 종전 선언을 하실 겁니까?트럼프 대통령: 두고 봐야죠. 두고 볼 겁니다.감사합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여러분은 잠시 후 여기에 다시 오겠군요. \ 관련 내용 [제2차 미북 정상회담] 각 발언 전문▶ ① 2019.2.27 트럼프와 김정은의 인사 ..

    국외 2019.03.10
    • 제2차 미북회담 실패, 북한이 해제를 요구한 대북제재는 어떤 것? (안보리 14개 대북제재결의안)

    2019.2.27.~28.까지 양일(兩日)간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Sofitel Legend Metropole Hanoi)에서 진행된 미국의 도널드 존 트럼프(Donald John Trump)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金正恩 Kim Jong-un)과의 제2차 미·북 정상회담은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실패로 끝났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회담 결렬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그 협상결렬 원인에 대해, 북한은 영변 핵시설 해체 등 핵 프로그램 상당수를 비핵화 할 준비가 돼 있지만, 영변 핵시설의 해체만으로는 모든 비핵화가 아니고, 고농축 우라늄 시설과 기타 시설의 추가적인 비핵화가 필요했고, 북한은 그걸 할 준비가 안 돼 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북한은 대북제재의 완전한 해제..

    국외 2019.03.07
    • 【대북제재 2016~2017】 6.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2397호(2017.12.22.) 전문

    【대북제재 2016~2017】1.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270호(2016.3.2.)2.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21호(2016.11.30.)3.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56호(2017.6.2.)4.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1호(2017.8.5.)5.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5호(2017.9.11.)6.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97호(2017.12.22.)□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97호(2017.12.22.)북한이 2017년 11월 29일에 감행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UNSCR) 2397호는 북한의 에너지와 수출입 부문에 대한 강력한 제재와 더불어 북한의 불법적인 밀수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국외 2019.03.03
    • 【대북제재 2016~2017】 5.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2375호(2017.9.11.) 내용

    【대북제재 2016~2017】1.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270호(2016.3.2.)2.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21호(2016.11.30.)3.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56호(2017.6.2.)4.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1호(2017.8.5.)5.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5호(2017.9.11.)6.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97호(2017.12.22.)□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75호(2017.9.11.)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17.9.12.(화) 07:12 [뉴욕 현지 9.11(월) 18:12]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응하여 유엔 헌장 7장 41조(비군사적 제재)에 따라 대북 제재조치를 담은 결의 2375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

    국외 2019.03.03
    • 【대북제재 2016~2017】 4.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2371호(2017.8.5.) 전문

    【대북제재 2016~2017】1.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270호(2016.3.2.)2.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21호(2016.11.30.)3.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56호(2017.6.2.)4.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1호(2017.8.5.)5.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5호(2017.9.11.)6.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97호(2017.12.22.)□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71호(2017.8.5.)안전보장이사회는,안보리 결의 825호(1993), 1540호(2004), 1695호(2006), 1718호(2006), 1874호(2009), 1887호(2009), 2087호(2013), 2094호(2013), 2270호(2016), ..

    국외 2019.03.03
    • 【대북제재 2016~2017】 3.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2356호(2017.6.2.) 전문

    【대북제재 2016~2017】1.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270호(2016.3.2.)2.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21호(2016.11.30.)3.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56호(2017.6.2.)4.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1호(2017.8.5.)5.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5호(2017.9.11.)6.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97호(2017.12.22.)□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56호(2017.6.2.)안전보장이사회는, 안보리 결의 825호(1993), 1540호(2004), 1695호(2006), 1718호(2006), 1874호(2009), 1887호(2009), 2087호(2013), 2094호(2013), 2270호(2016),..

    국외 2019.03.03
    • 【대북제재 2016~2017】 2.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2321호(2016.11.30.) 전문

    【대북제재 2016~2017】1.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270호(2016.3.2.)2.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21호(2016.11.30.)3.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56호(2017.6.2.)4.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1호(2017.8.5.)5.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5호(2017.9.11.)6.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97호(2017.12.22.)□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21호 (2016.11.30.)안전보장이사회는,안보리 결의 825호(1993), 1540호(2004), 1695호(2006), 1718호(2006), 1874호(2009), 1887호(2009), 2087호(2013), 2094호(2013), 2270호(2016..

    국외 2019.03.03
    • 【대북제재 2016~2017】 1.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2270호(2016.3.2.) 내용

    【대북제재 2016~2017】1.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270호(2016.3.2.)2.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21호(2016.11.30.)3.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56호(2017.6.2.)4.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1호(2017.8.5.)5.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75호(2017.9.11.)6. 유엔 안보리 대북한 제재 결의 2397호(2017.12.22.)□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270호 (2016.3.2.)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16.3.3.(목) 00:17 [뉴욕 3.2(수) 10:17] 북한의 4차 핵실험(2016.1.6)과 장거리미사일 발사(2016.2.7)에 대해 유엔 헌장 7장 41조(비군사적 제재)에 따라 대북한 제재 조치를..

    국외 2019.03.03
    • [2차 미북정상회담 합의실패] 북한 리용호 외무상 기자회견 전문

    2019.2.27.~28 양일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과의 미북 정상회담은 양측이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렬되었다. 이 후 2019.3.1. 북한 외무상 리용호가 한국시각 새벽 2시 30분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열린 미·북의 합의가 실패된 북한 측 입장의 대북제재 해제와 관련해 입을 열었다.북한이 요구하는 것은 전면적인 제재 해제 아니고, 유엔 제재 결의 11건 가운데 2016년부터 2017까지 채택된 5건 중 민수경제와 인민생활에 지장을 주는 일부 항목들만 먼저 해제해 달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3월 1일 새벽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2차 미북 정상회담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국외 2019.03.02
    • [2차 미북정상회담 합의실패] 트럼프 대통령 기자회견 전문

    2019년 2월 27일부터 28일까지 1박 2일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과의 미·북 정상회담은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렬되었다.김정은은 영변의 플루토늄 시설만을 폐쇄하겠다는 대가로서 대북 제재를 완전히 해제하라고 요구했던 것이고, 미국은 영변만이 아닌 다른 곳들에 대한 우라늄 농축시설 등의 폐쇄를 요구하였는바, 북한은 받아들이지 않았다.이에 대해 북한 외무상 리용호는 3월 1일 하노이 멜리아호텔에서 가진 긴급기자회견을 통해, 자신들이 요구하는 것은 대북제재의 전면적인 해제가 아니라, 민수경제와 인민생활에 지장을 주는 것들만 해당하는 일부 해제라고 입장을 밝혔다. 회담 마지막 날인 28일 회담 결렬 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시각 오후 4시경 숙소인 베트남 ..

    국외 2019.03.01
    • 2018 러시아 월드컵 32강 대진표(각 조별 경기 일정 및 경기 결과)

    ◯ 2018년 FIFA 월드컵Чемпионат мира по футболу 2018● 개최국 러시아● 개최 기간 6월 14일 ~ 7월 15일● 참가국 5개 대륙 32개국 ● 경기장 11개 도시 12개2018년에 개최된 21회 FIFA 월드컵으로, 월드컵 사상 첫 번째로 동유럽에서 개최하는 대회이고, 2006년 독일 월드컵이후 12년 만에 북반구에서 개최하는 월드컵 대회이다. 러시아는 이 월드컵을 개최하면서 우리나라에 이어서 6번째로 국제대회 유치 그랜드슬램, 즉 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세계육상선수권대회, FIFA 월드컵을 모두 개최한 국가가 되었다. 우리나라가 1988 서울 올림픽, 2002 월드컵,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그리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며 바로 직전 다섯 번째..

    국외 2018.06.29
    • 2018 러시아 월드컵 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대진표(경기일정) 정리

    ➣ 러시아 월드컵 경기: 2018.6.14. ~ 7.152018년 FIFA 월드컵(2018 FIFA World Cup Russia)은 FIFA 주관으로 4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FIFA 월드컵의 21번째 대회이다. 이 대회는 2010년 12월 2일, 2018년 및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선정을 통해 개최권을 따낸 러시아에서 2018년 6월 14일부터 7월 15일까지 진행중인 월드컵이다. 이번 FIFA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한 2006년 이후 12년 만에 유럽에서 11번째 열리는 월드컵 대회이자 동구권 유럽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월드컵이다. 대회 본선에는 32개국이 참가하는데, 예선전을 통과한 31개국과 주최국인 러시아가 본선에 합류했다. 총 64경기가 11개의 도시에 위치한 12개의 경기장에서..

    국외 2018.06.29
    • [2016.12.02 현재] '공중협박자금조달' 관련 개인·단체 금융거래제한대상자(647명) 명단

    □ 공중협박자금조달금지제도 ○ 공중협박자금조달금지법의 시행 테러자금조달행위를 금지하기 위한 「공중 등 협박목적을 위한 자금조달행위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하 ‘공중협박자금조달금지법’)」이 2008년 12월 22일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국내에 ‘테러’에 관한 명확한 개념정의가 없는 현실을 감안하여 ‘테러자금’이라는 용어 대신, ‘공중 등 협박목적을 위한 자금(공중협박자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그 모집, 제공 등을 금지하고 있으며, 그밖에 금융거래제한대상자의 지정과 금융거래허가제도에 대하여 규율하고 있습니다. 동법은 우리나라가 2004년 2월 17일을 서명, 비준한 「테러자금 조달의 억제를 위한 국제협약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uppression of the ..

    국외 2017.03.10
    • 김정남 아들 김한솔 등장 "○○○에 감사하다" (유튜브 동영상)

    2017.03.07 출처 지난 2월 13일 말레이시아에서 피살된 김정남의 아들 김한솔이 3월 7일 오전 6시께 유튜브 동영상에 공개됐다. 영상은 40초 분량이다.영어로 내 이름은 김한솔이며, 북한의 김씨 가문 일원이고 며칠 전에 아버지가 살해됐다고 말했다. 이어 신원을 확인해주려는 듯 자신의 여권을 카메라 앞에 펼쳐보이지만, 화면이 가리워져 식별은 불가능하다.그는 어머니와 여동생이 함께 있다면서 “○○○에게 감사하다고 말하면서 누군가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그리고 조만간 상황이 나아지기를 바란다는 말로 끝을 맺었다. 국가정보원은 이 인물이 김한솔이 맞다고 밝혔다.김한솔의 거취와 관련해 세 가지의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는 지금 안전한 제3국에 피신해 있다는 것과 그의 도피가 미국·중국·네덜란드·무명의..

    국외 2017.03.09
    • 트럼프VS클린턴 미 대선 1차토론 평가 여론조사, 트럼프 27%·클린턴 62%(토론영상)

    2016.09.28 朝鮮日報 미국 대선(大選) 1차 TV 토론은 26일(현지 시각) 뉴욕주 롱아일랜드 헴프스테드에 있는 사립대 호프스트라대학교에서 NBC 방송의 심야뉴스 앵커 레스터 홀트의 사회로 열렸다. 미국이 나아갈 방향, 미국의 안보, 번영 확보 방안 등 3대 주제 아래 모두 6개 분야에서 분야별 15분씩, 총 90분간 토론이 진행됐다. 두 후보는 분야별로 사회자의 공통 질문에 각 2분씩 답변한 후, 이후 10분간 자유토론을 했다. 무대 왼쪽에는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오른쪽에는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자리를 잡았다. 청중석은 양당 지지자들과 대학생 등 1000명이 차지했다. 이런 세부 사항과 토론 규칙은 모두 미 대선토론관리위원회(CPD)가 정했다. CPD는 토론 하루 전인 25일 "..

    국외 2016.09.26
    • 구글 본사 및 각국 지사들 안내

    Google은 비교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많은 것을 이루었습니다. 1998년 창립 이후 Google은 전 세계 수많은 사용자 및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 기업개요 ● Larry와 Sergey의 만남 1995년 공동 창립자인 Larry Page와 Sergey Brin이 스탠포드대학에서 만납니다. 1996년에는 개별 웹페이지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링크를 사용한 검색엔진(초기에는 BackRub이라 부름)을 만듭니다. ● Google Inc. Larry와 Sergey는 검색엔진에 ‘Google’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10의 100승을 뜻하는 수학 용어인 ‘googol’을 변형한 것입니다. 1998년 Google Inc.이 탄생하며, Sun의 공동 창립자인 Andy Becht..

    국외 2016.08.26
    • 한·멕시코 FTA와 TPP, 트럼프 TPP(환태평양동반자협정) 탈퇴 발언

    2016.06.24김형주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한-멕시코 FTA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대통령의 멕시코 방문을 계기로 지난 8년 간 중단됐던 한-멕시코 FTA 협상 재개의 실마리가 마련됐다. 우리나라와 멕시코 정부는 2000년 5월 양국 간 투자보장협정 체결과 FTA 협상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후, 공동 연구 및 전문가그룹 회의 등을 거쳐 2007년 12월 멕시코시티에서 제 1차 한-멕시코 FTA 협상을 개최했으나 그 이듬해인 2008년 6월 서울에서 열린 제 2차 협상을 끝으로 사실상 중단되고 말았다. 2003년 12월 첫 협상을 시작해 2년 만에 타결됐던 멕시코와 일본 간 FTA가 2008년 4월 발효되면서 멕시코 산업계와 정부는 일본과 여러 면에서 유사한 한국과 추가적인 FTA를 ..

    국외 2016.06.29
    • 유엔의 주요 대북제재 현황

    □ 대북제재 현황(2018.2.12. 현재)■ UN 안보리 제재2018.2. 현재까지 대북 경제제재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안(UNSCR: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은 총 10차례 채택되었으며, 2016년부터 제재의 초점이 WMD(대량살상무기) 이전통제에서 경제일반에 대한 타격으로 바뀌고 있다. 7차례의 전문가패널 기간 연장 목적의 형식적 결의안은 제외하고,▪ 제1차 UNSCR 1718호(2006년 10월 14일)▪ 제2차 UNSCR 1874호(2009년 6월 13일)▪ 제3차 UNSCR 2087호(2013년 1월 22일)▪ 제4차 UNSCR 2094호(2013년 3월 7일)▪ 제5차 UNSCR 2270호(2016년 3월 2일)▪ 제6차 UNSCR 2321호(2016년 11월..

    국외 2016.06.20